1. 풋 브레이크
: 페달을 밟은 힘 -> 미스터 실린더에서 유압 -> 브레이크의 본체로 보내진다
: 안전을 위해 반드시 두 계통
: X자 모양이 되도록 배관 조합 -> X자형 계통식
2. 디스크 브레이크
: 브레이크 패드가 원판(디스크 로터)에 접촉하여 마찰을 발생시킨다.
: 동일하게 유압식으로 작동
3. 드럼 브레이크
: 차축과 함께 회전하는 금속제 원통안쪽을 마찰재로 누르는 것
: 유압+리턴 스프링의 원리로 작동
: 과열과 물에 약하다
4. ABS(Anti-lock Brake Sysyem)
: 로크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
-> 타이어의 회전이 지나치게 느려지는 것 방지
: 바퀴의 상태를 여러 센서로 감시
1) 차륜 속도
2) 가속도 센서로 감속 정도
: 쉽게 말해 바퀴가 너무 느려지려하면 브레이크에 유압을 적게 보낸다.
5. 코너링 포스와 마찰력
: 속도가 빠를수록 원심력 때문에 원하는 만큼 방향 전환 X
조향각 : 방향을 바꾸기 위해 앞바퀴에 주어지는 각도
사이드 포스 : 옆미끄럼에 따른 마찰력 + 타이어 복원력
코너링 포스 : 자동차를 선회시키는 구심력
6. 조향장치
핸들 회전 -> 조향축 -> 유니버설 조인트 -> 기어박스(랙 앤 피니언) -> 타이로드 -> 너클암
'자동차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. 바퀴에 회전을 전달하는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
---|---|
3. 엔진 보조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
2. 엔진의 기본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
1. 자동차가 달리는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