흡기 행정 -> 압축 행정 -> 연소, 팽창 행정 -> 배기 행정
1) 흡기 행정
: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혼합기 흡입된다
2) 압축행정
: 피스톤 상승하며 혼합기를 압축하여 고온으로 ( 밸브 모두 닫혀있음)
3) 연소,팽창 행정
: 혼합기에 불을 붙여 연소 일으킴
4) 배기 행정
: 피스톤 상승 + 배기 벨브를 통해 가스 배출
1. 크랭크 기구
: 회전 운동을 상하 왕복 운동으로 바꿀 수도 있다.
: 피스톤이 내려가면 크랭크축 회전
2. 기통
: 실제로 힘이 발생하는 구간은 '연소 팽창' 뿐이라서 다른 행정에서 피스톤을 움직이기 위한 힘이 필요
: 일반적으로 3~12기통
: 직렬, V형 수평형 등 여러 종류로 배열 가능
3. 연소실
: 기본구조

: 하사점일때 용량이 실린더 용적
: 상사점에 있을 때 용적을 연소실 용적
: 배기량 = 실린더 용적 - 연소실 용적
: 엔진의 총 배기량 = 기통수 * 배기량
4. 엔진의 보조 기구
1) 흡기, 배기 장치
: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끌어드리고 연소가스를 배출
2) 엔진 본체
: 실린더 블록 + 실린더 헤드 + 주운동계
ex) 점화, 냉각, 윤활 시동 충전 등등
5. 엔진 컨트롤 유닛
: 점화 장치의 점화타이밍을 제어
: 엔진의 회전수, 연료의 양에 따라 실린더 안의 압력 상승에 걸리는 시간이 다르다 -> 점화 시기 조절
: 다양한 센서로 상태 파악 후 제어
1) 엑셀 포지션 센서 : 가속 페달 밟은 정도
2) 크랭크 포지션 센서 : 크랭크 축 회전 각도
3) 노크 센서: 노킹 감지용
4) 흡기 온조 센서
5) 수온센서: 냉ㄱ각 장치의 냉각액 온도 측정
6) 산소 센서 : 배기 속의 산소 농도 알아낸 후 연소 상태 판단
7) 스로틀 포지션 센서 : 스로틀 밸브의 열림각 판단 ( 흡기양 조절 용 )
'자동차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자동차를 멈추거나 방향을 바꾸는 메커니즘 (0) | 2021.02.08 |
---|---|
4. 바퀴에 회전을 전달하는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
3. 엔진 보조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
1. 자동차가 달리는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