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냉각 장치
: 엔진 과열시 점화 플러그가 불이 붙기 전에 자연 연소 시작해버려서 문제 방생
: 오버히트와 같은 과열상태 막음
: 엔진 힘으로 작동하는 워터 펌프 설치
: 냉각액의 기체화를 방지하기 위해 경로 밀폐! -> 가압 냉각
순서
1) 냉각액이 워터 재킷을 통과 하며 엔진을 식힌다
2) 라디에이터(안에 냉각팬 포함된 경우 많다)에서 방열되며 식는다
: 오버쿨 방지를 위해 바이패스+서모스탯이 존재
2. 윤활 장치
: 엔진에서 마찰을 억제해 주는 장치
: 엔진 오일 활용
-> 오일펌프 작동
-> 실린더의 기밀성 높이기( 피스톤과 실리콘의 틈 매꾸기)
-> 냉각작동
-> 쿠션 역할(완충 작용)
-> 세정 작용
3. 시동 장치
: 흡기 행정과 압축 행적을 실시하기 위한 힘을 공급하는 장치
: 스타터 모터 + 플라이휠 or 드라이브 플레이트
순서
1) 마그네틱 스위치가 작동해 피니언 기어를 톱니바퀴에 맞물리게 한다
2) 모터 회전 시작 -> 엔진이 움직인다.
3) 시동이 제대로 확인 되면 피니언 기어는 처음 위치로 돌아간다
4. 충전장치
: 전력 공급 장치
: 발전기 + 축전기(남은 발전전력 저장)
: 교류 발전기 사용 -> 자동차는 직류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변환 시켜줘야 한다.
'자동차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자동차를 멈추거나 방향을 바꾸는 메커니즘 (0) | 2021.02.08 |
---|---|
4. 바퀴에 회전을 전달하는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
2. 엔진의 기본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
1. 자동차가 달리는 메커니즘 (0) | 2021.02.07 |